현재위치: 질문답변 Q&A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전체회원 : 138753분















?questions and answers
질문답변 Q&A
궁금한건 물으시고 아시는건 대답해 주십시오. 검색을 이용하시면 비슷한 내용의 질문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왕형
작성일 2002-10-28 (월) 16:38
분 류 정비
ㆍ조회: 3314   
IP: 218.xxx.1
고급amp의 선택
소리의 증폭과 개성을 전달
고급 앰프의 선택


카 오디오의 고급화에는 헤드유닛이나 스피커가 으뜸으로 고급화 경향이 있으나 앰프도 못지 않게 고급화되어간다. 몇 회에 걸쳐서 고급 기기들을 다루고있는데, 이번에는 고급앰프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한다.
앰프의 채널 수나 메인, 서브용 앰프들에 대한 자세한 사항들은 이미 여러 번 다루어져왔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하고, 고급앰프들이 갖는 특성을 위주로 살펴보기로 하겠다.




1. MOS FET 앰프들
반도체가 발명되면서 기존의 진공관 앰프들이 해내지 못한 기능들을 트랜지스터 앰프들이 거뜬히 해낸 것이 제품들의 소형화와 대출력 앰프의 등장이었다. 물론 카 오디오에 진공관을 사용한 경우는 작은 편이지만 최근에도 소량의 앰프에는 진공관을 사용하기도하지만 완전한 진공관 사용은 불가능하므로 몇 개소에만 특별히 사용하는 카용 앰프들이 등장하기는 했다. 그러나 진정한 카 오디오 진공관 앰프라 하기엔 무리가 있다. 트랜지스터가 앰프에 사용되면서 진동에 별문제가 없게되어 카 오디오용 앰프로 많이 사용되게 되었지만, 고급 앰프로서 역할은 충실히 해내지 못했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대두된 것이 열이 많이 올라간 경우에 그 특성이 나빠진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 대안으로 나온 것이 MOSFET이었다.
대부분의 앰프들이 파워를 공급하는 전원부에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 FET를 사용하고있지만, 출력단에 모두 사용하기엔 원가가 많이 상승하고 열처리가 쉽지 않아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급앰프들은 출력단에도 모두 FET를 사용하여 앰프의 온도가 올라가더라도 특성이 쉽게 나빠지지 않게 되어 장시간 사용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 반면 저가형 앰프들은 출력단에 사용된 트랜지스터가 장시간 사용하게되면, 특성이 나빠져서 우리가 듣는 음악이 찌그러짐이 심하게 나타나는 일을 경험하게된다. 이것은 앰프에서 신호가 작동할 수 있는 범위가 FET가 트랜지스터보다 훨씬 넓어서 찌그러짐이 쉽게 나타나지 않는다. 다만, 고온이 되었을 때 FET의 파괴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너무 온도가 올라가면 앰프가 자동으로 다운되게 설계하므로 이런 현상이 발생되면 오디오를 잠시 꺼놓고서 앰프의 열이 식은 후 다시 사용하여야 한다. 이때 앰프는 다시 정상동작을 하게된다. 일반 매니아로서 고급앰프를 고를 때 구입하고자 하는 앰프가 FULL MOSFET을 사용한 제품인 지를 확인해보면 좋다. 또한 앰프를 브릿지 시켰을 때 그 출력이 정격출력의 4배로 증가하는가 혹은 최소한 3배로 증가하는가를 확인해본다. 만약 그 출력이 2배로 증가한다거나 2배 이하로 증가한다면 틀림없이 그 출력단은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앰프일 것이다. 따라서 앰프가 출력변화를 어떻게 일으키는가를 눈여겨보면 쉽게 고급앰프들의 선별이 가능하게된다.

2. 파워가 강한 앰프가 고급앰프
앰프는 에너지를 매우 많이 소비하는 오디오 기기이다. 고급 앰프라하면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면서도 열을 받더라도 전압변동의 폭이 작아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앰프내부에 사용된 파워부분이 강력하게 되어있어야 한다. 그중 첫 번째로 중요한 것이 트랜스포머(Transformer) 라는 코일과 코어(Core)로 이루어진 부품이다. 여기에 감겨있는 코일은 질이 좋은 것일수록 전압변동폭을 줄일 수 있고, 많은 전류가 흐를 때 열이 적게 난다. 코일에 열이 많아지면 그 코일의 저항성분이 많아져서 코일이 갖는 인덕턴스라는 값이 작아진다. 이 인덕턴스 값이 작아지면 우리가 원하는 대출력을 내기 위해 승압과정을 거치는 전원장치의 역할이 미약하게되어, 출력이 낮아지고 찌그러짐이 발생되어 결국 우리가 듣는 음악이 제대로 재생이 안되므로 장시간 음악을 들을 때 문제를 발생한다. 앰프에서 찌그러짐이 많이 발생하면 스피커의 손상을 일으켜서 파괴되는 경우까지 발생하므로, 고급 스피커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반드시 고급앰프를 함께 사용해주는 게 좋은 음질을 얻는 지름길일뿐더러 자신의 스피커 보호에도 적합하다. 이 부분은 소비자로서는 판단하기 어려운 부분이고, 기기를 직접 열어보고서 판단해야하는 부분이다.

3. 앰프의 부품 기판 재질이 중요하다.
앰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부품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부품들이 안착되는 기판은 특히 카 오디오의 특성상 진동에 강해야하므로 내구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기판의 재질이 중요하다, 기판의 재질은 페놀이나 에폭시를 사용한다. 페놀기판은 주로 단면 기판이면서 납땜이 된 후에 강한 진동에 약한 편이다. 작은 충격에 기판의 동판이 쉽게 떨어지기도 하고, 납이 묻는 면적이 작아서 어느정도 시일이 경과한 후 쉽게 부식이 될 수 있기도 하다. 반면에, 에폭시 기판은 재질도 튼튼할뿐더러 양면기판이고, 부품이 꽂히는 구멍에 함께 납이 흘러 들어서 납땜 시에 견고하게 잡아준다. 따라서 오래 사용해도 납이 떨어져나갈 우려가 작고, 납이 묻은 면적이 많아서 냉땜의 우려성도 줄어든다. 그래서 고급 앰프들에 사용되는 기판은 대부분 에폭시 기판이다. 이것을 FR-2, FR-3, FR-4 등으로 표시하는데, 모두 에폭시 재질들이다. 앰프의 수명을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에폭시 기판으로 제작된 것을 사도록 권한다. 특히 앰프에 사용된 트랜스포머의 견고한 유지에 필요한 것이 이 재질이다. 물론 무거운 부품은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하겠지만, 기본적으로 납땜되는 곳의 견고성을 좋게 하기 위해서 이런 재질로 된 앰프를 추천하는 것이다.

4. 고급앰프는 연결되는 선들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어야한다.
앰프에는 스피커선이나, 신호선, 전원선등이 연결되는데, 앰프의 용량에 맞게 굵은 선들이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해 보아야 한다.
최근에는 가장 견고한 부착방법으로 터미털에 구멍을 내고, 나사를 조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스피커선이나 전원선은 충분히 굵은 선도 무리없이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간혹 저가형 앰프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스피커 선에 별도의 터미널을 만들어 부착하도록 되어있으나 이런 방식은 대부분의 카 오디오 장착점들이 거기에 만족할만한 터미널들을 확보하지 못해서, 연결부위가 취약하고, 가늘게 연결되어 많은 전류가 흐를 때 열이 발생될 소지를 안고 있다.

5. 고급앰프는 발열에 신경을 많이 쓴다.
앰프는 열이 많이 발생하여 발열을 돕는 방열판을 부착한다. 이 방열판이 알루미늄재질로 만드는 것이 대부분인데, 두 가지 형태로 되어있다. 그것은 압출된 것과 또 하나는 다이케스팅 된 것이다. 앰프의 방열판은 발열 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굴곡지게 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발열을 잘 시키기에 좋은 조건은 알루미늄 다이케스팅이다. 이것은 금형 제작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트랜지스터나 FET의 표면에 잘 부착되게 설계를 하여 발열조건을 한층 유리하게 해낼 수 있다. 반면에 압출은 발열조건을 맘대로 조정할 수 없어서 상대적으로 발열에 불리하게 설계되는 것이 일반화되어있다. 한편 발열을 위해 앰프내부에 별도의 팬을 달아서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밖으로 불어내는 역할을 하게 하여 방열을 시키는 제품들도 있다. 이렇게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열이 많이 나는 앰프의 표면을 발열처리 해 주어야만 장시간 사용에도 문제없이 좋은 음질을 낼 수 있어야 고급앰프라 할 수 있다.

6. 기타 고급앰프를 위한 조건들.
위의 여러 가지 객관적인 조건들을 잘 갖추고서도 앰프의 설계기술이 부족하다면 결코 고급앰프를 만들기 어렵다. 최종적으로는 설계자의 자세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앰프설계자가 어떤 부품을 사용해야 좋은 앰프를 만들 수 있을까 고민해야하고, 부품의 배치나 회로의 효용성을 잘 이용하여 신호의 찌그러짐을 최소화하고, 고음과 저음에서 고르게 올바른 특성을 나타낼 수 있게 회로설계를 해야만 최종적으로 고급앰프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좋은 부품을 사용하면서, 고급기술을 갖고있는 유능한 엔지니어가 앰프를 설계하고 생산시설이 양호한 공장에서 제품의 균일성을 유지하며 불량없이 생산해내는 생산기술도 중요하므로 생산회사의 전체적인 수준이 높아야 고급앰프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소비자들은 대개 앰프의 브랜드를 중시하여 고급앰프를 고르는데 익숙해져 있는 것이다. 이런 사고야말로 종합적이고, 검증된 앰프를 구할 수 있는 손쉬운 방법중 하나일 것임에 틀림없다. 다만, 새로운 기술들이 많이 발달하고있어서 카오디오 전문점의 장착전문 가의 의견도 참조하여 알맞은 가격에 성능이 우수한 앰프를 선정할 수 있다고 본다.

   
이름아이콘 [경상] 한용민
2017-03-26 19:15
감사합니다...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2 정비 헤드유닛에 대하여... [1] 왕형 2002-10-22 4117
901 정비 카오디오 입문하시는 초보님들만 보세요. [2] 운영자 2002-10-21 7845
900 정비 6*9스피커에 대한 질문입니다. [6] 김 웅 2002-10-20 3251
899 정비 [펌]<뉴코란도>문짝 포칼 165w3 레진작업 중... [7] 럭셔리 2002-10-20 3484
898 정비 유명 브랜드별 특징 (I) [1] 럭셔리 2002-10-20 3791
897 정비 유명 브랜드별 특징 (II) [2] 럭셔리 2002-10-20 3420
896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앰프+프론트스피커+리어스.. [1] 럭셔리 2002-10-20 3282
895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앰프+프론트스피커+서브우.. [1] 럭셔리 2002-10-20 3279
894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2채널+프론트+서브우퍼 [1] 럭셔리 2002-10-20 2782
893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2채널+프론트+서브우퍼+케.. [1] 럭셔리 2002-10-20 2951
892 정비 각종 노이즈 제거법 [펌] [1] 럭셔리 2002-10-20 4992
891 정비 코란도 오디오 배선도 입니다.... [3] 럭셔리 2002-10-20 4352
890 정비 격벽엠보싱 알려주세요..^^ [6] 백성복 2002-10-19 2986
889 정비 전원선의 종류 [1] 왕형 2002-10-19 3983
888 정비 서브우퍼의 선택 [1] 왕형 2002-10-19 3374
887 정비 앰프의 스펙을 이해하자 [3] 왕형 2002-10-19 3652
886 정비 앰프 장착 필요한 자재류 [1] 왕형 2002-10-19 3548
885 정비 초보자 카오디오입문순서 [2] 왕형 2002-10-19 4188
884 정비 우퍼의 종류에 따른 알맞는 박스 [1] 운영자 2002-10-18 3798
883 정비 전원 업그레이드의 종류와 그의 장단점 [1] 운영자 2002-10-18 3258
1,,,8381838283838384838583868387838883898390,,,8435
『운영참여』  
Copyright(c) 2007년 KORANDODIY.com SINCE 2001년7월12일      E-Mail 무단수집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