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질문답변 Q&A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전체회원 : 138753분















?questions and answers
질문답변 Q&A
궁금한건 물으시고 아시는건 대답해 주십시오. 검색을 이용하시면 비슷한 내용의 질문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왕형
작성일 2002-10-19 (토) 11:22
분 류 정비
ㆍ조회: 3372   
IP: 218.xxx.1
서브우퍼의 선택
카 오디오만이 느낄 수 있는 매력은 바로 쿵쿵 울리는 베이스 음이 아닐까 한다. 그리고 이 베이스를 발산하는 유닛은 서브우퍼이다. 대개 부드러운 서브 베이스와 강력한 서브 베이스 두가지로 나뉘는데, 이러한 사항들을 유닛의 성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고 장착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즉 체적이나 주변 기기와의 매칭의 역할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카오디오를 다는사람들중에는 서브우퍼 장착시 부드러운 음을 내도록 요구받기도 하고 강력한 서브 베이스를 내도록 요청을 받기도 한다. 이는 크게 두가지로 나뉘는 것인데, 조용한 음악을 깊게 감상하는 경우엔 대부분 부드러운 서브를 요구하게된다. 재즈나 클래식을 들을 때가 이런 경우이다. 첼로의 낮은 음이 너무 강하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소화해내는 저음은 그야말로 부드러움의 대표성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오케스트라의 웅장하고 장엄한 음악들을 소화해내기 위해서는 강력함도 요구되기도 한다. 반대로 락이나 댄스, 헤비메탈, 랩 등의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강력한 서브음을 요청한다. 빠른 템포의 음악이면서 연속적으로 나오는 강한 북소리는 우리의 가슴을 시원하게 해주는 맛이 있다. 그룹사운드의 호소력 진한 목소리와 함께 들려오는 신나는 드럼소리는 강력한 서브우퍼만이 그 맛을 재생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어떤 경우에 부드러운 저음을 잘 내고 어떤 경우에 강력한 저음을 잘 내는가? 이는 서브우퍼의 특징과 함께 서브우퍼를 울려주는 앰프와 관계가 깊다. 서브우퍼의 소리가 부드럽다함은 12인치 정도 되는 스피커를 우선 선택해야한다. 박스 제작시 주어진 스피커 규격의 큰 체적에 맞추고, 유닛을 선정할 때에도 요청되는 음압이 너무 크지 않는 것을 선택한다.

음의 질은 잘 내면서 너무 많은 출력의 앰프를 요구하지 않는 것들은 부드러운 저음을 내기에 적당하다. 이런 서브우퍼의 음을 듣고서 어떤이들은 너무 깊게 깔린다고 불만을 나타내기도 하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이 어느 부류인가를 곰곰히 생각해보고서 서브우퍼 설계시 반영시키도록 해야한다. 예전에는 대부분 콘지의 종류에 따라서 부드러움을 결정지었지만 홈 오디오와 달리 카 오디오는 주변의 소음 때문에 홈 오디오에서처럼 부드러움을 강조한다면 실패하기 쉽다.어느 정도까지 주변의 소음을 압도하는 맛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시판중인 스피커중 JL AUDIO 제품이 비교적 부드럽게 음을 낸다. 그러나 이 회사제품이 미국의 SPL 대회에서 여러번에 걸쳐 우승을 했다는 것은 왠지 부드러움과는 거리가 있는 듯하다. 하지만 이런 SPL 대회의 경우엔 스피커를 수십개씩 사용하여 높은 음압을 내는 것이므로 우리가 다루는 주제와는 별개로 생각할 수 있다. 특별한 회사 제품만이 부드러움을 상징하진 못한다. 우리가 서브우퍼의 제작을 할 때 어떤 포인트에 맞추느냐에 따라서 주된 결정이 될 뿐이다. 그리고 강력한 서브우퍼일지라도 부드러운 음악을 들으면 어느 정도까지는 부드럽게 낼 것이다.

한편 강력한 서브음을 내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서브우퍼의 콘지가 단단한지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콘지를 손으로 눌러서 쉽게 들어가지 않는다면 이는 분명 강한 서브음을 내기에 좋은 조건이 된다. 이 의미는 앰프의 출력도 훨씬 큰 것을 연결하도록 되어있다는 것이다. 또 한가지는 스피커를 여러개 장착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론 서브우퍼는 1개이면 충분하다.

서브우퍼는 여러개를 달더라도 모노 음을 낸다. 흔히 저음도 스테레오가 필요한 것이 아니냐고 질문을 받는데, 분명히 서브음은 모노이다. 아무리 스테레오로 작동시키려해도 모노일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저음은 지향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방향성이 별로 없다. 음의 방향성을 얘기할 때 트위터를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쉽다. 트위터는 방향성이 매우 크다. 일정하게 고정된 트위터 음에 우리의 귀를 좌우로 돌려보면 다른 소리가 들리는 것을 쉽게 느낄 수 있다. 그래서 트위터는 방향성이 큰 것이다.

반대로 저음은 귀를 돌리는 것은 차치하고서도 청취하는 자리를 바꾸어 앉아 들어보아도 동일하게 들린다. 이렇게 저음은 방향성이 작아서 녹음시에도 모노로 녹음되고 아무리 좋은 오디오로 듣는다한들 모노음이 된다. 그래서 서브우퍼는 한 개만 장착하여도 문제가 되질 않는다. 그럼 2개를 장착하거나 그 이상의 개수를 장착하는 것은 오직 큰 음압을 내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서브우퍼를 여러개 장착할 경우 사용되는 앰프는 모노앰프가 좋다.

서브우퍼용 모노앰프는 낮은 임피던스까지 작동하는데 문제가 없어서 하나의 연결단자에 여러대의 서브우퍼를 연결하여 낮은 임피던스를 유지하게 만들어주면 그 앰프가 갖고있는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게 만들어줄 것이다. 이때 한가지 주의할 사항은 여러대의 서브우퍼 연결시 스피커에 표기된 +와 -의 연결이 정확하게 되어야한다. 만약 여러대의 서브우퍼가 뒤죽박죽으로 연결된다면 서로 간섭을 일으켜서 오히려 음압이 낮게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역위상에 의해 음이 상쇄되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런 경우를 여러번 목격했다.

필자를 찾아와 호소하기를 여러개의 서브우퍼를 장착했는데 왜 큰 음압이 나오지 못하는지 알 수가 없다는 것이었다. 이때 스피커의 연결상태를 유심히 관찰해보면 스피커의 배선 연결이 잘못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물론 박스체적의 설계가 문제되어 그런 경우도 발생한다. 스피커 유닛이 제시하는 박스체적이나 포트의 구경, 길이 등이 잘못되어 엉뚱한 주파수에 튜닝되어 서브우퍼가 약하게 나오는 경우였다. 여러개의 서브우퍼를 장착할 때 유닛이 요구하는 박스체적중 비교적 작은 것을 선택해 박스 설계를 해야한다.

박스의 체적중 큰 것을 선택하게되면 앞에서 다룬 부드러운 서브음을 내는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박스설계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 자신이 원하는 저음을 얻을 수 있는 첩경이다. 이는 서브우퍼를 잘 설계하는 엔지니어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 설계를 잘 하는 엔지니어는 최소한의 조건을 갖추어야한다. 전자공학을 전공했다거나 음향공학에 대해 기본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할 것이다. 물론 장인정신으로 여러해를 카 오디오 박스설계에 경험을 쌓은 사람들도 잘 제작할 가능성이 있긴 하지만 오디오에 대한 기본지식을 갖춘다함은 전기전자에 대해 공부를 해야하고, 소리에 대해서 연구가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다.

이런 점에 있어서 국내 카 오디오에 대한 전문기관이나 학원 등이 아직 없다는 것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오직 최근에 경기대학교의 박성준 교수가 카 오디오 관련 과목 강의를 개설한 것은 황무지와 다름없는 국내 카 오디오 기술발전에 토대를 쌓았다고 할 수 있다.

강력한 저음을 내기 위해서는 스피커를 여러개 사용하고, 앰프 출력도 크게 올려주어야 하는데, 이런 환경을 만들어서 제대로 큰 음을 내기 위해서는 전력 또한 뒷받침이 되어야한다. 그러나 지난호에서 다룬 것처럼 전력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된다. 카 오디오는 홈 오디오와 크게 다른점이 전력공급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래서 제너레이터의 용량을 키워야하고, 배터리 용량도 큰 것으로 교체해야하고, 커패시터도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이 또한 한계가 있어서 강력한 서브음을 즐기기 위해서는 우선 자동차의 전력관계를 먼저 검토해야한다. 자신의 차량이 어느 정도의 발전용량을 갖고있으며, 제너레이터를 어느 정도까지 키울 수 있는지를 먼저 알아보고서 강력한 서브음을 내도록 해야한다. 만약 무턱대고 서브우퍼 수를 늘리고, 앰프용량을 늘린들 결국 전력문제 때문에 다시 걷어내야 하는 아픔을 겪을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무시하고, 강한 서브음만을 내는데 초점을 맞춘다면 자동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고, 심지어는 주행중 자동차의 엔진이 꺼져버리는 사고까지 발생될 수 있다. 카 오디오는 어디까지나 자동차 운행중 즐거운 음악을 들으면서 기분을 상쾌하게 하고, 스트레스를 풀기 위한 것인데, 반대로 자동차의 운행에 지장을 주고, 스트레스를 더 받고, 심지어는 사고로까지 이어진다면, 카 오디오 장착의 원래 취지를 완전히 잃게 되는 결과를 낳을 뿐이다.

서브우퍼를 구동하는 앰프의 출력이 어느 정도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자.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 최근의 서브우퍼들은 상당히 큰 출력의 앰프를 요구한다. 약 400W급 정도는 되어야한다고 생각한다. 좀 괜찮은 앰프라하면 100와트 2채널짜리 앰프는 브릿지 연결하여 1채널로 사용할 경우 400와트를 낸다. 이것은 앰프의 설명서에 명기되어있다. 앰프에 따라서 100W 2채널이라도 300W정도를 내는 것들도 있다.

아무리 작은 차량일지라도 필자의 권유는 400W급이다. 설령 그 정도의 출력이 필요 없을지라도 약간의 여유를 갖고서 서브구동을 하게되면 무척 부드러우면서도 때로는 강력한 음까지 잘 소화해낸다. 600W급이면 매우 좋은 조건을 갖춘 서브우퍼용 앰프라 할 수 있다. 다만 이런 출력을 소화해내는 오디오 시스템에 프론트 출력이 너무 작다면 조화를 이루지 못할 수 있다. 만약 프론트 스피커에 채널당 50W급 앰프를 구동시키면서 서브만 400W급이라면 이는 서브앰프 출력을 낮추거나 프론트 스피커의 출력을 올려야한다.

이때 프론트 스피커의 출력을 올린다는 것은 채널당 100W급은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최근 시판되는 프론트 스피커들이 과거와 달리 요구하는 앰프 출력이 많이 높아졌다. 그래서 앰프회사들도 100W 4채널 정도의 출력 앰프를 만들어내기 시작한 것이다. 특별히 저음만을 즐기는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서브음이 강력하다는 의미는 프론트의 중고음들도 거기에 걸맞게 강하게 내주어야만 전체적인 음악이 강력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부드러운 서브우퍼냐 강력한 서브우퍼냐는 독립적으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프론트의 중고음과 조화를 이루는 음을 내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일이다.

서브우퍼는 비록 트렁크에 있더라도 들리는 느낌은 프런트 스피커 쪽이어야 한다. 즉, 프런트 스피커에서 초저음이 나오는 듯한 착각을 일으켜야 정상적인 튜닝이 된 카 오디오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앞에서 설명한대로 서브우퍼에서 나오는 초저음의 파장이 수미터 이상 되기 때문이다. 또 한가지 특이한 점은 서브우퍼에서 나오는 초저음은 어쩔 수 없이 진동과 함께 우리가 느끼게되므로 몸으로 느끼는 서브우퍼와 귀로듣는 서브우퍼의 사운드가 동시에 오게되므로 약간의 위치감각이 달라질 수 있기는 하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서브우퍼 사운드는 분명히 프론트 스피커에서 나온다는 느낌이 들어야만 한다.
   
이름아이콘 [경상] 한용민
2018-01-19 12:34
감사합니다...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902 정비 헤드유닛에 대하여... [1] 왕형 2002-10-22 4114
901 정비 카오디오 입문하시는 초보님들만 보세요. [2] 운영자 2002-10-21 7840
900 정비 6*9스피커에 대한 질문입니다. [6] 김 웅 2002-10-20 3248
899 정비 [펌]<뉴코란도>문짝 포칼 165w3 레진작업 중... [7] 럭셔리 2002-10-20 3480
898 정비 유명 브랜드별 특징 (I) [1] 럭셔리 2002-10-20 3777
897 정비 유명 브랜드별 특징 (II) [2] 럭셔리 2002-10-20 3419
896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앰프+프론트스피커+리어스.. [1] 럭셔리 2002-10-20 3281
895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앰프+프론트스피커+서브우.. [1] 럭셔리 2002-10-20 3273
894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2채널+프론트+서브우퍼 [1] 럭셔리 2002-10-20 2780
893 정비 [펌]앰프DIY할때의 참고배선도-4채널+2채널+프론트+서브우퍼+케.. [1] 럭셔리 2002-10-20 2950
892 정비 각종 노이즈 제거법 [펌] [1] 럭셔리 2002-10-20 4983
891 정비 코란도 오디오 배선도 입니다.... [3] 럭셔리 2002-10-20 4350
890 정비 격벽엠보싱 알려주세요..^^ [6] 백성복 2002-10-19 2985
889 정비 전원선의 종류 [1] 왕형 2002-10-19 3971
888 정비 서브우퍼의 선택 [1] 왕형 2002-10-19 3372
887 정비 앰프의 스펙을 이해하자 [3] 왕형 2002-10-19 3650
886 정비 앰프 장착 필요한 자재류 [1] 왕형 2002-10-19 3546
885 정비 초보자 카오디오입문순서 [2] 왕형 2002-10-19 4187
884 정비 우퍼의 종류에 따른 알맞는 박스 [1] 운영자 2002-10-18 3797
883 정비 전원 업그레이드의 종류와 그의 장단점 [1] 운영자 2002-10-18 3256
1,,,8381838283838384838583868387838883898390,,,8435
『운영참여』  
Copyright(c) 2007년 KORANDODIY.com SINCE 2001년7월12일      E-Mail 무단수집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