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질문답변 Q&A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전체회원 : 138750분















?questions and answers
질문답변 Q&A
궁금한건 물으시고 아시는건 대답해 주십시오. 검색을 이용하시면 비슷한 내용의 질문을 찾으실 수 있습니다.
작성자 김현수
작성일 2002-07-25 (목) 10:46
분 류 정비
ㆍ조회: 3673   
IP: 127.xxx.1
[펌]오디오 업글시 전원보강순서 및 상식



제목 : [펌]오디오 업글시 전원보강순서 및 상식


   



일단 가장 근본적인 것은 누가 뭐래도 발전기(알터네이터)입니다.
왜냐하면 현재 다른 어떤 제품도 발전기의 기능을 하는 것은 없습니다.
우리가 흔히 '제너레이터(generator)'라고 부르는 차량용 발전기는 정확히 말해, '알터네이터(alternator)'라고 부르는게 올바릅니다.  
발전부인 코일과 마그네틱, 컨트롤부인 레귤레이터(regulator), 그리고 냉각구조 입니다. 최초 시동을 걸고 발전을 시작할때는 이 마그네틱에 자화에 필요한 전류를 공급한후 기전력이 발생합니다
용량은 최대 발전용량 A(Ampere) 만으로 표시하는데 국내 자동차는 디젤 엔진 차량의 용량은 65~75A 이고, 개솔린 차량의 경우는 보통 75~90A이며 대형(그랜져3000cc이상급)은 110A 에쿠스 리무진만 140A 입니다. 디젤차량은 초기시동시 기동 전류가 많이 필요하나 주행시는 전류의 소모가 적기 때문에 저용량의 알터네이터에 고용량 밧데리를 쓰고 있고, 가솔린엔진은 초기 시동시 기동전류가 디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고 운행중 점화장치와 전동냉각팬등의 사용으로 전류의 소모가 커서 고용량의 알터네이터에 저용량의 배터리를 쓰는것 같습니다.

레귤레이터(regulator)는 운행에 필요한 충분한 전류를 밧데리에 공급한후 단락을 반복 하면서 불필요한 전류는 생산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풀리는 크랭크풀리에 벨트로 연결되어 계속 회전을 합니다. 앞쪽에 보면 휀과 뒤쪽에 오일이 냉각역활을 감당하게 되는데 레귤레이터의 온도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정비지침서를 참고하면 레귤레이터의 온도보상규격이 나와있는데 10℃온도 상승함에 있어 약 0.1V의 전압이 Drop 한다구 나와 있습니다. 가솔린 엔진의 경우 엔진내부온도가 100℃까지 올라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경우 상온보다 약 80여도의 온도차로 인해 0.8V의 전압하락이 되기도 하지요. 상온에서 14.4V가 나와야 하는데 13.6V가 나온다면 그 이유 입니다. 특히 알터네이터가 구조상 엔진과 가까이 위치하게 되는데 냉각기능은 발전 기능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배터리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화학적 에너지로 전환한 뒤 이를 저장·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기관을 가동시키며, 사용시 전기 장치에 안정된 전력을 공급하며 적절한 용량으로 전체 전압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 배터리의 전류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전압은 차츰 내려갈 수 밖에 없는데, 전압이 내려갈수록 더 많은 전류량이 소비하게 된다. 알터네이터의 내부 구조상의 특징으로 아무리 높은 RPM에서도 전압이 떨어지면 많은 전류를 발생할 수 없으므로 배터리에 저장된 전류가 모두 소모되면 결국 9V 이하 또는 순간 8.5V 이하로 떨어져 엔진이 꺼질 수도 있다.
카오디오의 입장에서 본다면 SPL이 약해지면서 디스톨션도 많이 생기고 결국에는 앰프가 꺼지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다. 알터네이터에서 발전되는 전류를 빠른 시간에 저장하기 힘들고, 파워앰프에서 요구하는 순간 전류를 보내주기에 역부족이다. 물론 낮은 전류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카오디오 볼륨을 높일 때 50-150A 정도의 순간 전류가 소비되므로 이때 배터리에서 필요한 전류를 공급하지 못하면 전압은 계속 내려가고 파워앰프는 모자라는 전류 때문에 열을 발생하면서 제대로 힘을 공급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만일 배터리가 평소 남는 전류를 최대한 빨리 지정하고 필요시 최대한 많은 전류를 보낼 수 있다면 커패시터도 최대 성능을 발휘하면서 전압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도 엔진 힘이 계속 유지되면서 알터네이터 또한 계속 많은 양의 전류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배터리 제원표 보기
CCA : 기온이 0℉일 경우 30초 동안 지원해 줄 수 있는 암페어의 수치.
MCA/CA : 기온이 32℉일 경우 30초동안 지원해 줄 수 있는 암페어의 수치.
HCA : 기온이 80℉일 경우 30초 동안 지원해 줄 수 있는 암페어의 수치.
AH : 배터리의 용량. 10시간동안 12V 배터리가 10.2V로 전압이 낮아질 때 까지의 전류 발생량을 측정한 것.
Reserve Capacity : 온도가 80℉일 때 12V 배터리의 전압이 10.5V로 떨어질 때 까지의 시간을 측정한 것.
Resistance /Ω : 배터리 내부 구조의 저항값을 표기한 것. 배터리의 내부 온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으며 보통 25℃에서 측정한다.
Short Circuit Current/ Max Amps/ Maximum Current Output : 배터리는 내부 구조상 저항이 없는편이어서 사고 발생시에 굉장한 에너지가 발생한다. 이를 암페어로 표시한 것으로 높을수록 배터리의 성능이 좋다.
Cycle Life : 완전 방전된 배터리를 다시 100% 충전할 수 있는 횟수.
Power Output : 실질적인 순간(5-15초 정도) 최대 전류 생산량을 표기하는 단어.


배터리의 분류
1. 용도에 따른 분류
AUTOMOTIVE BATTERIES, SLI(STARTING, LIGHTING IGNITION)
: 짧은 시간에 대량의 시동 전류를 요구하므로 극판을 얇게하여 표면적이 넓게 되어있으며 완전 충전량의 약 1-5%이상이 방전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MARINE/DEEP CYCLE
: 시간에 따라 충전용량의 80%까지 방전이 될수 있도록 극판이 두껍게 되어있다. 완전한 Deep Cycle이 아닌 SLI 배터리와의 중간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극판의 두께가 SLI보다는 두껍지만 Deep Cycles보다는 얇아 자동차 시동용으로도 쓰일 수 있다.
INDUSTRIAL DEEP CYCLE BATTERIES
: 극판의 두께가 자동차용에 비해 약 4배 정도 더 두꺼운1/6(170/1000)인치로 Deep Cycle에 적합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극판을 안티몬-납으로 만들어 내구성이 높다.
DEEP CYCLE BATTERIES
: 극판이 두꺼워 충전용량의 80%까지 방전해도 문제가 없도록 설계가 되고 다시 충전하여 이런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Cycle Life은 수백-1,000회 정도인데, 자동차용은 약 30-50회 정도라고 한다. 극판은 납이나 칼슘납으로 만들구요 칼슘납이 수명이 길다.


순간 충방전(캐패시터), 혹은 저장(보조 배터리), 변환(아큐볼트)하여도 1 이 2 가 되는 일은 있을 수 가 없겠지요.알터네이터 다음은 보조 밧데리보다 캐패시터를 권합니다. 다만 라우드한 음악을 듣는 분들은 보조배터리가 우선입니다. 보조 배터리의 종류도 다양한데 장착의 난이도와 일반 밧데리의 경우는 냄새 혹은 충방전 속도 등등 때문에 드라이셀을 선호하나 소비자가가 만만치 않습니다. 보조 밧데리는 누군가가 필요 없다는 낭설을 퍼트리고 다녔었으나 이미 증명되었다는 평가 입니다.
요새는 BATCAP 이라고 두가지의 장점을 취한 제품이 나오고 있으나, 아직 정확한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퀄리티 쪽에서는 보조 밧데리 보다 아큐 볼트를 선호 합니다.
이 모든 것이 필요한 이유는 출력(W) = 암페어(A)*볼트(V) 이기 때문이며, 실제 국내
보통 차량 기준이 90A 알터네이터에 13.4V 정도 나오니까 1206W... 맞나?
그럼 100*4CH 앰프에 600W만 걸어도 1000W니까 차량에는 206W 그럼 100W 라이트 두개...
앰프 출력을 FULL로 쓰지 않듯이, 알터 역시 FULL 구동하기 쉽지 않기에 주변 전원 보강기기들이 필요해 진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이름아이콘 [경상] 한용민
2018-05-16 12:10
감사합니다...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800 정비 운영자님 이것이 궁금합니다.. [1] 박철수 2002-07-27 2841
799 정비       Re- 운영자님 이것이 궁금합니다.. [1] 운영자 2002-07-27 3765
798 정비             Re- 운영자님 이것이 궁금합니다.. [1] 운영자 2002-07-27 2790
797 정비                   Re- 운영자님 이것이 궁금합니다.. [1] 박철수 2002-07-27 2715
796 정비 Radio가 잘 안나와요~ [1] 김재현 2002-07-26 2917
795 정비       Re: 아마도 감도 튜닝이... [1] 이선엽 2002-07-28 2633
794 정비 순정오디오시디체인져를..? [1] 조지현 2002-07-26 2946
793 정비       Re- 답변 [1] 김태훈 2002-07-26 2842
792 정비             Re- 답변 [1] 김현수 2002-07-27 2815
791 정비 [펌]알터네이터 교체 후 전원선 보강 [1] 김현수 2002-07-25 3239
790 정비 [펌]오디오 업글시 전원보강순서 및 상식 [1] 김현수 2002-07-25 3673
789 정비 운영자님 ...... [1] 박철수 2002-07-24 2784
788 정비       Re- 운영자님 ...... [1] 운영자 2002-07-25 2747
787 정비             Re- 운영자님 ...... [1] 박철수 2002-07-25 2650
786 정비                   Re- 운영자님 ...... [1] 운영자 2002-07-25 2671
785 정비 오디오 질문...2 [2] 란도리 2002-07-20 2660
784 정비       Re- ^^; [1] 김현수 2002-07-20 2769
783 정비             Re- ^^; [1] 란도리 2002-07-20 2608
782 정비 트위터.... [1] 박철수 2002-07-19 3157
781 정비       Re- 트위터.... [1] 운영자 2002-07-20 3092
1,,,8391839283938394839583968397839883998400,,,8434
『운영참여』  
Copyright(c) 2007년 KORANDODIY.com SINCE 2001년7월12일      E-Mail 무단수집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