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자동차 관련 뉴스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전체회원 : 138749분















?carnews
자동차 관련 뉴스
작성자 [강원] 김이헌
작성일 2009-08-12 (수) 23:55
ㆍ조회: 2330   
IP: 61.xxx.12
1만원=170km.. 내년 아반떼 하이브리드 출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8&aid=0001960827

이거 장말 란도리 2011~12까지 타고 하이드리브카로 바꿔야 겠군요. 세제혜택만 최대 470만원이군요.

정부가 세수 때문에 판매를 막을 줄 알았는데... 세제혜택이 굉장한데요..

세제혜택

*개소세.교육세면제.130만원한도

*등.취득세면제 140만원

*도시철도.채권면제 200만원한도



[한겨레] 내년 아반떼 하이브리드 출시…상용화 원년

환경규제 강화 세계적 흐름…기술격차 추격

친환경차가 달린다 /

① 선택에서 필수로

고유가와 지구온난화 문제로 기름을 적게 사용하는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미국 등 주요국이 자동차에 대한 환경규제를 강화하고 있어 친환경 차량 개발은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가 됐다. 내년 7월 현대차 아반떼 하이브리드의 일반 판매를 시작으로 우리나라에서도 본격적으로 친환경 차량의 시대가 열린다. 국내외 친환경 차 및 연료의 현재와 미래를 다섯차례에 걸쳐 살펴본다.


1만원어치를 주유하면 약 170㎞를 달리는 차. 요즘 같은 고유가 시대에는 정말 꿈만 같은 이야기다. 하지만 내년 7월이면 이런 이야기가 현실이 된다. 현대차가 야심차게 개발한 국내 첫 상용 연료겸용차(하이브리드차) ‘아반떼 엘피지 하이브리드’가 시판되기 때문이다. 이 차의 자세한 제원은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엘피지 엔진의 연비가 휘발유 차량의 70% 수준이고, 연로겸용차의 연비가 일반 엔진 차량의 150% 정도라는 점을 고려해 계산하면 엘피지 1ℓ당 18㎞(수동 변속기 기준) 정도의 연비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엘피지 1ℓ의 가격은 1067원이므로 1만원이면 약 170㎞를 달릴 수 있다는 계산이다.


■ 내년 국내 친환경차 원년 세계 자동차 업계가 친환경 차 개발을 두고 소리 없는 전쟁을 벌이는 가운데 내년 아반떼 하이브리드 시판으로 국내에서도 친환경 차 시대가 활짝 열린다. 현대·기아차가 그동안 베르나 하이브리드, 프라이드 하이브리드 등을 정부 납품용으로 소량 생산하고, 렉서스나 혼다 등 수입 브랜드들이 연료겸용차를 판매하긴 했으나 그 수는 아주 미미했다.

현대차 쪽이 밝히는 아반떼 하이브리드의 연간 생산 목표는 2만대 정도다. 대부분이 국내에 판매된다면 연간 120만대 수준인 국내 자동차 시장 규모로 볼 때 단숨에 친환경 차량이 전체 점유율의 2% 수준으로 급상승하게 된다. 또 내년이면 연료겸용차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는 도요타의 프리우스도 우리나라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친환경 차량은 보통 배기가스와 연료 소비를 획기적으로 낮춘 차량을 통칭하는 말인데, 연료겸용차는 엔진의 힘과 전기모터의 힘을 같이 써서 연료 소비를 줄이는 방식을 이용해 현재 가장 널리 실용화된 친환경 차량이다. 또 전기차나 연료전지 등 완전 무공해 차량으로 건너가는 과도기적인 차인 동시에 그 기술개발의 근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 왜 친환경차인가 우리나라 연료겸용차 기술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도요타가 1997년 최초의 상용 하이브리드카 프리우스를 일반에 판매하기 시작했고, 혼다가 2001년 시빅 하이브리드를 판매하기 시작한 것과 비교하면 벌써 10년 이상 뒤처져 있다.

캘리포니아 등 미국 13개 주에서 채택하고 있는 제트이브이(ZEV·Zero Emission Vehicle) 법규는 지엠(GM), 도요타, 혼다 등에 2009~2011년 미국 시장에서 판매하는 차량의 11%를 무조건 친환경 차량으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지 못할 경우 차 한대당 5000달러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현대차도 2017년부터 이 법규를 적용받게 된다. 시장에 먹힐 만한 가격과 성능의 친환경 차량을 선보이지 못하면 미국 시장에서 자동차를 판매하는 것이 불가능해진다는 이야기다. 유럽 시장 또한 마찬가지다. 아직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현재 논의되고 있는 법안은 2012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1㎞당 120g으로 규제하는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가솔린 승용차가 200g을 넘어가고 있어 당장 4년 안에 배출가스를 절반 수준으로 감축하지 않으면 유럽시장 수출길도 막히게 될 판이다. 세계 완성차 업계가 친환경 차량 개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이유다. 여기에 올해 들어 치솟고 있는 원유가격도 친환경 차량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내년 아반떼 하이브리드에 이어 2010년이면 쏘나타 하이브리드를 내놓을 계획이다. 쏘나타의 경우 가솔린 모델과 엘피지 모델 전부에 하이브리드를 적용한다. 또 연료전지차도 2012년 양산을 목표로 조기 실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내년에 나올 아반떼 하이브리드의 가격은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2천만~2500만원 사이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형섭 기자 sublee@hani.co.kr


--------------------------------------------------------------------------------
■ 국내 친환경차 개발현황

정부 납품 2400여대, 전국서 ‘씽씽’


현대·기아차, 95년 첫선…연료전지차 개발 박차

현대·기아차는 1990년대 초부터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몰두해 왔다. 올해까지 정부기관에 납품한 하이브리드 차량만 해도 모두 2400여대에 이른다.

현대·기아차가 처음 선보인 친환경 차량은 1995년 제1회 서울모터쇼에 내놓은 하이브리드 전기차 FGV-1(콘셉트카)이었다. 1999년에는 FGV-2와 아반떼 하이브리드, 2000년에는 베르나 하이브리드 전기차를 개발하며 꾸준히 기술을 축적해 왔다. 하지만 이들 차량은 모두 실제 생산으로 이어지지 않은 시범 차량이었다.

현대차가 처음으로 실제 사용하는 친환경 차를 만들어 낸 것은 2004년으로, 그해 10월 클릭 하이브리드 전기차 50대를 환경부에 공급했다. 이 차들은 경찰청 등에 지원됐으며 국내 도로를 달리는 최초의 국산 하이브리드 차량이 됐다. 차량 개발에는 2003년 5월부터 양산 때까지 16개월 동안 106억원이 투자됐다. 연비는 18㎞/ℓ로 가솔린 차량(12.1㎞/ℓ)보다 50% 향상됐다. 최대 출력도 가솔린 모델(85마력)보다 높은 99마력이다.


현대차는 2005년 말에는 신형 베르나 200대 등 하이브리드 차량 350대를 양산해 환경부에 공급했으며, 2006년 10월에는 기아차 최초의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23개월 동안 총 219억원이 투자된 프라이드 하이브리드 69대를 경찰청에 납품해 시범운행하고 있다. 현대·기아차는 연료전지 차량도 함께 개발 중이다. 연료전지 차량은 수소를 동력원으로 이용하며 확실한 차세대 친환경 차로 분류된다. 현대·기아차는 2000년 ‘캘리포니아 연료전지 시범사업’에 참여해 연료전지 차량 개발에 뛰어들었으며 그해 11월 싼타페를 모델로 연료전지차 콘셉트카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현대차는 지난 24일에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모니터링사업본부’를 설치했다. 현재 수도권내 8대의 투싼과 4대의 스포티지 연료전지 자동차를 운행 중이며, 2세대 수소연료전지차 18대와 수소연료전지 버스 2대를 추가로 투입해 전국 각지에 34대의 수소연료전지 차량을 운행할 계획이다. 이형섭 기자


--------------------------------------------------------------------------------
■ 친환경차 뭐가 있나

배기가스 줄이거나, 전기로 달리거나

하이브리드차 화석연료로 구동하는 엔진과 전기로 움직이는 모터가 결합된 방식의 자동차를 일컫는다. 모터가 엔진을 도와 출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힘도 세지고 연비도 좋아진다. 크게 도요타 방식의 풀 하이브리드와 혼다 방식의 소프트 하이브리드로 나뉜다. 도요타 방식은 모터를 두개 사용해서 하나는 구동력을 높이는 데 사용하고 하나는 충전을 하는 데 사용한다. 혼다 방식은 모터를 하나만 사용해서 출력을 높일 때는 모터가 엔진을 돕고 속도를 줄일 때는 이 모터가 발전기로 전환되는 식이다. 현대차는 혼다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친환경디젤차 유럽 자동차 회사들이 주력하고 있는 기술이다. 디젤은 휘발유에 비해 연소될 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30% 이상 적다. 유럽 회사들은 배기가스를 배출 직전에 고열로 태워버리는 기술을 적용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블루텍’, 베엠베(BMW)의 ‘애드블루’ 등이 대표적이다.

전기차 전기만을 사용해 움직이는 차량을 통칭한다. 모터로 바퀴를 돌린다. 문제는 충전을 어떻게 하느냐인데, 크게 직접 콘센트에 전원을 꽂아서 충전하는 플러그-인 방식과 태양광 등을 이용해 충전하는 차량 등으로 나뉜다. 하지만 태양광 등을 이용하는 방식은 이미 실현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판명나 흔히 전기차라고 하면 플러그-인 방식을 뜻한다.

연료전지차·수소차 수소를 사용해 전기를 만들어서 움직이는 차량이다. 수소를 분해할 때 생기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장치의 이름이 ‘연료전지’이기 때문에 연료전지차로 불린다.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들은 2020년 이후에는 연료전지차가 차세대 자동차의 대세가 될 것으로 생각하고 연구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수소는 폭발 가능성이 높아 이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술 개발과 수소충전소를 늘리는 인프라 투자에 들어가는 엄청난 투자비 확보가 실용화의 열쇠다. 이형섭 기자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한겨레신문 구독 | 한겨레21 구독]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이름아이콘 [경기] 정광식
2009-08-13 12:23
회원사진
쌍용도 하이브리드 나올까요?...
차츰 하이브리드가 대새가 되는 듯 하네요
   
이름아이콘 [전라] 이현
2009-08-16 01:05
이제 내년이면 보험료도 타는데로 받는다는데 1년에 3만정도를 타는저는
연료비라도 절약할려면 하이브리드를 타야할듯 ㅡ,ㅜ;;
   
이름아이콘 [경상] 정재우
2009-08-18 22:57
우연하게 lpi 동호회 글이 검색되서 봤었는데.. 구매하실려면 실연비 한번 확인하고 사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름아이콘 [경상] 손만석
2009-08-20 08:16
솔직히 저라면 하이브리드 안사겠습니다. 실연비도 그렇고...전기차 나올때까지 현재 상태유지한다에 한표
넘 많이 차를 굴리시는 분은 디젤승용이 오히려 낫다고 봅니다. 정차시 덜덜거림은 있을수잇으나 운행을
많이 한다면..그 차이가 하늘과 땅일듯 저는 한달에 유류비 10만원정도 연비 11정도 나오더군요
우리 란도리 11년넘었지만 엔진이 멈출때까지 탈려구요..^^ 여러분들 다들 안운하시길
   
이름아이콘 [경상] 이병우
2009-08-20 21:24
전기차는 언제쯤 저렴하게 상용화 될까요?  빨리 국내업체가 출시해주길..
   
이름아이콘 [경상] 천세호
2009-08-21 15:56
저거 실연비가 저런게 아니라 하이브리드를 휘발유에 대하여 저렇타는건가??
   
이름아이콘 [서울] 정병운
2009-08-29 01:13
애길들어보니 아반떼 하이브리드 뒷자석쪽에 대형밧데리 있는데 2~3년주기마다 갈아주어야한답니다
그가격은 250~300만원대 하이브리드카의 실용화는 아직 더두고봐야할듯.....
   
이름아이콘 [경상] 권영필
2010-02-28 16:06
하이브리드 밧데리가 비싸서..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7567 여수에 가면 '수소연료전지차'가 있다 [전라]원만희 2009-08-24 1790
7566 쌍용차, '무결점'에 도전한다 [16] [전라]원만희 2009-08-24 2286
7565 쌍용자동차, SUV 'C200' 출시 시점은? [8] [전라]김주옥 2009-08-24 3615
7564 휴가길 고생한 '애마'도 점검이 필요해 [1] [서울]황인혁 2009-08-23 1671
7563 1973년형 매연단속 경찰차의 실내는? [서울]황인혁 2009-08-23 2103
7562 ‘하이브리드車 보조금’ 논란 [1] [서울]황인혁 2009-08-23 1537
7561 160억 페라리, 경기 도중 사고 [5]+1 [서울]이보형 2009-08-22 3241
7560 무쏘신화재연 격려에 사기충전 [3] [전라]이용현 2009-08-20 2433
7559 쌍용차 'New 쌍용, New Start' 프로그램 본격 가동 [2] [전라]원만희 2009-08-20 2136
7558 - 기사 - 쌍용차, 평택시민들에 "죄송합니다" [2] [경상]박효정 2009-08-20 1749
7557 슈퍼카 닛산 [5] [경기]우진일 2009-08-16 2017
7556 오늘부터 쌍용차 생산 한데요^^ [19]+1 [경기]백종주 2009-08-13 2386
7555 기아차, 준대형 세단 'VG'는 어떤 모습? [4] [충청]임영진 2009-08-13 2046
7554 BMW '7시리즈' 방탄차의 성능? [5] [충청]임영진 2009-08-13 2197
7553 09 프랑크푸르트-볼보 C30 EV 컨셉트 [전라]김성근 2009-08-13 1800
7552 GM, 내년에 소형 캐딜락 ATS 출시 [전라]김성근 2009-08-13 1758
7551 1만원=170km.. 내년 아반떼 하이브리드 출시 [8] [강원]김이헌 2009-08-12 2330
7550 1ℓ로 100㎞ 가는 볼트, GM 구세주 될까? [6] [충청]임영진 2009-08-12 1942
7549 “휴가 끝났다.파업하자” [12] [강원]김이헌 2009-08-11 1958
7548 수요일부터 쌍용차 부품 생산한데요^^ [11] [경기]백종주 2009-08-11 2024
1,,,31323334353637383940,,,418
『운영참여』  
Copyright(c) 2007년 KORANDODIY.com SINCE 2001년7월12일      E-Mail 무단수집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