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위치: 자동차 관련 뉴스

회원등록 비번분실
Home Intro
HOT menu
전체회원 : 138753분















?carnews
자동차 관련 뉴스
작성자 서동욱
작성일 2004-11-03 (수) 20:12
ㆍ조회: 1896   
IP: 143.xxx.116
[따뜻한 겨울]“자동차도 추위타요” 월동준비 미리미리
《자동차 전문가들은 차량의 수명과 성능은 겨울을 얼마나 잘 보내느냐에 달려 있다고 조언한다.


내연기관의 특성상 기온이 낮을수록 동력계통이 제대로 성능을 발휘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도로 여건도 나빠지기 때문이다.겨울철 차량 관리 요령을 소개한다.》


▽소모품 교체는 꼭 필요한 것만=겨울이라고 해서 모든 소모품을 손볼 필요는 없다. 제품마다 교환주기가 다른데다 지역에 따라 필요한 부품이 제각각이기 때문이다.


‘겨울용 소모품’하면 떠오르는 게 스노타이어(윈터타이어)다. 스노타이어는 홈이 깊어 눈길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하지만 일반 도로에서는 땅과 닿는 면적이 적어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완전히 얼어있는 빙판길에서도 별다른 효과가 없다.


따라서 강원도 등 눈이 많이 오는 산간지역에서는 스노타이어가 꼭 필요하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기존 사계절용 타이어로 충분하다.


스노타이어는 원칙적으로 네 바퀴 모두 교체하는 게 좋지만 여의치 않으면 전륜구동 차량은 앞바퀴에, 후륜구동은 뒷바퀴에만 장착해도 효과를 낼 수 있다.


스노체인도 겨울을 나기 위한 필수품. 금속 체인은 값이 싸지만 녹이 슬기 쉽다. 우레탄 체인은 가격은 높지만 가볍고 오래 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체인을 장착한 상태에서 시속 40km 이상으로 달리면 타이어에 무리를 준다.


스노체인 대신 스프레이체인도 인기다. 타이어 표면에 뿌린 뒤 운전하면 미끄럼 방지 효과가 2시간 정도 지속된다.


부동액은 2년에 한번 정도 바꿔주면 된다. 요즘은 차량이 출고될 때부터 사계절용 부동액이 들어 있어 특별히 겨울용을 살 필요는 없다. 하지만 부동액의 양은 주기적으로 점검해 부족하면 보충해야 한다. 부동액과 물의 혼합 비율은 50 대 50이 적당하다.


배터리는 2∼3년에 한번씩 갈아줘야 한다. 배터리 윗부분의 둥근 창 속의 색깔이 녹색이면 정상이지만 흰색이면 교체해야 한다.


엔진오일은 겨울이라고 해서 특별히 교체할 필요가 없다. 예전에는 겨울용 오일이 따로 있었지만 요즘은 계절에 상관없이 사용한다.


▽워밍업 등 성능 관리가 중요=소모품 교체보다 중요한 게 겨울철 성능 관리다.


엔진 워밍업은 평소보다 더 오래하는 게 좋다. 엔진 소음이 심해지는 가장 큰 원인 중 하나가 겨울철 급출발 때문이다. 출발 후에도 30초 정도는 서행해야 한다.


밤에는 기온이 떨어지기 때문에 주차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지하 주차장이나 아침에 햇빛을 잘 받는 곳을 택해 엔진룸이 해를 바라볼 수 있게 주차한다.


유리창 성에는 가급적 히터로 녹여 내리는 게 좋다. 딱딱한 물체로 성에를 긁으면 유리에 흠집이 생겨 야간 운전 때 불빛이 번져 보인다.


에어컨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약 5분씩은 틀어줘야 한다. 실내에 습기가 찼을 때 히터와 에어컨을 함께 사용하면 일석이조(一石二鳥)의 효과를 볼 수 있다. 에어컨을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내부의 기계 장치에 부식이 생기거나 고무가 굳어져 냉매가 흘러내릴 수 있다.


이 밖에 눈길을 운행한 뒤에는 전문 세차장에서 차 밑바닥을 닦아줘야 한다. 제설용 염화칼슘 때문에 차가 녹슬기 쉽다.


또 키홀에 물기가 들어가 얼어붙은 경우에는 라이터로 차 열쇠를 가열한 뒤 삽입하면 차문이 쉽게 열린다.


고기정기자 koh@donga.com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7 `상하이 렉스턴?` 쌍용車 브랜드의 운명은 [6] 서동욱 2004-11-13 1877
186 "자동차번호판 규격 미국차에 맞춰달라" [3] 서동욱 2004-11-13 1897
185 중고차시장은 이미 '한겨울' 윤형수 2004-11-12 1716
184 `청정 자동차` 개발 본격 시동 서동욱 2004-11-11 1582
183 대우자판,쌍용차 위탁판매 계속할까 서동욱 2004-11-11 1703
182 소형 자동차세 1,600cc이하로 통일 [1] 서동욱 2004-11-11 2289
181 목포시, 쌍용차 생산라인 유치에 총력전 [3] 윤형수 2004-11-11 1813
180 [cover story] 신차 첨단사양 튀네 [4] 서동욱 2004-11-09 2078
179 군산 앞바다에 대규모 유전발견 [9] 강기석 2004-11-09 2184
178 <중고차시장..디젤차 `찬밥'-LPG차 `인기'> ㅡㅡ... [4] 허태석 2004-11-09 1983
177 ‘15억 페러리’ 50대 사업가 차지 [9] 서동욱 2004-11-07 2063
176 상하이차, 차입금으로 쌍용차 인수 [3] 서동욱 2004-11-05 1796
175 수입車시장 일본이 `독주` [2] 서동욱 2004-11-05 1785
174 . [4] 주영주 2004-11-05 1995
173 중국 상하이자동차의 쌍용자동차 증설라인 대불산단 '최적' [5] 윤형수 2004-11-04 1850
172 [쌍용자동차] 쌍용차, 11월 한달 동안 『RV 페스티벌』실시 [1] 서동욱 2004-11-03 2162
171 [따뜻한 겨울]“자동차도 추위타요” 월동준비 미리미리 서동욱 2004-11-03 1896
170 환경피해 '경유 밴'이 소형 휘발유차의 5배.... [6] 조순주 2004-11-02 2527
169 내년부터 자동차 가격 오른다 [3] 서동욱 2004-11-02 1922
168 경유값 비율을 더 올려야 한답니다...-.- [16] 김상모 2004-11-02 2274
1,,,401402403404405406407408409410,,,418
『운영참여』  
Copyright(c) 2007년 KORANDODIY.com SINCE 2001년7월12일      E-Mail 무단수집거부